수입쿼터 해제 이후 치열하게 전개되는 대미 섬유수출이 최근 발효를 눈앞에 두고 있는 美·中美자유무역협정(CAFTA)으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코트라(KOTRA)가 최근 발간한 ‘미·중미자유무역협정(CAFTA)과 섬유수출 기회’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중미 국가들에 대미수출 특혜를 부여해 중국산 제품의 대량 유입을 견제하는 동시에 자국산 원부자재의 안정적인 공급처를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일 부시 미 대통령이 서명하고, 정식 발효를 준비 중인 CAFTA 협정에 따라 미국과 과테말라,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도미니카공화국 6개국간 섬유 및 의류제품 교역에 대해 무관세가 적용된다.
미국은 이번 협정을 통해 쿼터해제 후 급증하는 중국산 제품 수입을 견제하는데 역점을 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중미 생산기지에서 제작된 의류제품이 미국에 무관세로 수입되면 저가공세를 펴던 중국산에 큰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코트라는 이에 따라 미국시장에서 중국산과 경합하며 고전했던 우리 섬유 수출업계로서는 품목에 따라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중미 국가간 특혜 무역은 다른 섬유수출국들의 미국시장 진입을 어렵게 만들지만 이를 활용한 우회진출의 틈새시장 역시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니카라과 등 일부 협정국에 대해 역외국산 원단사용을 허용한 것은 현지 생산기지를 활용한 우리나라 섬유 원부자재 수출의 새로운 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시설 이전이 중국과 베트남 등 일부 국가에 편중되는 현상에서 벗어나 미국시장을 겨냥한 전략품목 위주의 중미 생산기지 활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김선화 코트라 통상전략팀장은 “우리나라의 섬유수출여건이 어려워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나 해외에서의 수요는 늘 존재하고 있다”며 “통상환경의 변화에 대처하는 기민함과 품목 차별화 및 브랜드 고급화 전략이 절실한 때”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