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 7년 만에 최고 수준
2분기부터는 상환부담 본격화

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며 크게 늘어난 기업·가계 대출의 부실 문제가 수면 위로 서서히 떠오르고 있다. 2금융권의 기업 연체율은 약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고, 은행 전체 연체율(기업+가계)도 2년 반 만에 최고 기록을 세웠다.        

기업대출 1874조원, 코로나 3년새 48%↑

최근 한국은행이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현재 국내 금융권(은행+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잔액은 모두 1874조원(은행 1221조6000억원+비은행 652조4000억원)에 이른다.

역대 최대 규모일 뿐 아니라 코로나19 직전 2019년 4분기(1263조5000억원)와 비교해 3년 새 48.3% 늘었다.

특히 2금융권 기업 대출은 같은 기간 357조2000억원에서 652조4000억원으로 82.6%나 불었다.

은행권의 기업대출 차주(대출자) 수 역시 작년 4분기 현재 사상 가장 많은 350만명까지 불어있다. 3년 전(230만명)보다 52.2% 급증한 수치다.

더구나 ‘2금융권’으로 불리는 비(非)은행 금융기관(저축은행·상호금융·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 등)을 중심으로 기업 대출의 연체율까지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4분기 기준 2.24%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1.81%)보다 0.43%포인트 뛰었고, 2016년 1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업권별 연체율은 △저축은행 2.83% △상호금융 3.30% △보험사 0.15% △여신전문금융사(카드·캐피털 등) 1.01%인데, 특히 상호금융의 경우 2020년 1분기(3.19%) 이후 처음 작년 4분기 연체율이 3%를 넘어섰다.   

여신전문금융사의 연체율도 2019년 3분기(1.16%)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은행권, 2월 연체율 급등

은행권의 연체율도 코로나19 사태 직후 수준까지 올랐다. 2020년 1분기부터 지금까지 대출만기 연장·이자 유예·저금리 대환(갈아타기)대출 등의 금융지원으로 잠재 부실이 지표에 드러나지 않고 연체율은 낮은 상태를 유지했는데, 작년 하반기부터 뚜렷하게 오르며 2∼3년 전으로 되돌아갔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36%로 한 달 새 0.05%포인트 또 상승했다. 2020년 8월(0.38%)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대출 주체별로 나눠보면 기업대출(0.39%), 가계대출(0.32%) 연체율이 2월보다 0.05%포인트, 0.04%포인트씩 올랐다.

한은 자료에서도 국내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0.19%에서 4분기 0.24%로 3개월 사이 0.05%포인트 상승했다. 0.24%는 2020년 2분기(0.25%) 이후 2년 반 만에 최고 연체율이다.

“고금리 상환부담, 2분기부터 본격화”

시중은행 관계자는 “취약차주, 다중채무자(3곳 이상 금융기관 대출) 등을 중심으로 가계·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최근 상승세”라며 “높은 금리·환율·물가와 저성장, 수출·소비 감소 등으로 조달·사업비용이 급증해 채무상환 능력이 떨어지고 한계기업도 늘어 기업대출 연체율 역시 오르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기준금리가 당분간 인하되지 않을 전망인 데다 대출이 주로 변동금리 조건으로 이뤄진 만큼 작년 금리 급등에 따른 상환 부담 증가는 올해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도 “기준금리 인상, 소비자 물가 상승 등에 따른 가계 실질소득 감소와 소비 위축이 경기 불황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한시적으로 완화됐던 은행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정상화에 따른 은행채 발행, 한전채 발행 등으로 시장금리가 앞으로 더 오를 가능성도 있는데, 이는 결국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2020년 1분기부터 시작된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대출 만기 연장·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오는 9월께 종료될지 여부도 금융권 건전성 관리에 중요한 변수다.

은행권 관계자는 “만약 코로나 금융 지원 조치가 9월 끝나면 연체율은 지속적으로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