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공급 초과' 호남권엔 ESS 1.4GW 입찰…LFP 전지 양산 추진

지난 1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에서 참관객들이 SK온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지난 1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에서 참관객들이 SK온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정부가 수요를 초과하는 재생에너지를 에너지스토리지(ESS,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는 ESS 산업의 세계 시장 점유율을 오는 2036년 35%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미국, 중국과 함께 세계 3대 ESS 산업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최근 재생에너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해 출력제어가 빈번한 호남권에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도입하고 ESS 사업 입찰 공고를 낼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의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먼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 따라 2030년까지 필요한 에너지 저장설비 총 3.7기가와트(GW)에 대해 2025년부터 연간 600메가와트(㎿)씩 선제적으로 확보한다.

특히 재생에너지 과잉 생산으로 전력 계통이 불안정한 호남권에는 배터리 ESS 사업을 입찰에 부쳐 2026년까지 1.4GW를 조달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제주도에 국내 처음으로 이 같은 내용의 '저탄소 전원 중앙계약시장'을 개설한 바 있다.

10차 전기본 계획 이외의 추가 양수발전 건설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양수발전은 상하부 댐의 낙차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저장하는 방식이다. 배터리 기반의 ESS 개념을 넘어서 대용량·장(長)주기의 저장설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산업부는 또 세계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삼원계 리튬전지의 초격차 경쟁력을 유지하는 한편, 리튬인산철(LFP) 전지 양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낮은 비용에 안전성은 높이고 대용량화가 가능한 흐름전지, 나트륨황(NaS) 전지, 압축공기저장, 열저장, 양수발전 등의 기술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수출 및 해외 진출도 확대한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서는 소재·부품·기기 등의 공급망과 인증 인프라 확충, 인력 양성 등을 통한 ESS 산업 생태계 조성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아울러 ESS 안전대책을 적극적으로 이행해 ESS 화재안전성 검증센터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미국과 중국 등은 적극적으로 ESS 활성화 대책을 추진 중이지만 국내 ESS 보급 시장은 화재 발생에 따른 지원 정책이 줄어들면서 ESS 시장도 위축된 상황"이라고 전했다.

강경성 산업부 2차관은 이날 경기도 안양시 소재 LS일렉트릭 글로벌 연구개발(R&D) 캠퍼스를 방문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ESS 핵심 부품인 전력변환장치(PCS) 신제품 개발 현장을 둘러봤다.

강 차관은 "계통 안정을 위해 에너지스토리지 보급은 꼭 필요하다"며 "핵심 ESS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발전 기반을 조성하는 동시에 화재 대응 방안을 확보해 에너지스토리지를 새로운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