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협동조합의 60년 역사에 새로운 장이 시작되고 있다.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의 예산으로 처음 실시된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문인력 지원사업’이 올해로 2년차를 맞았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인력 부족이다. 이번 사업은 중소기업협동조합의 평균 조합원 수가 90.4개임에도 불구하고, 상근직원 수가 평균 2.8명에 불과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동사업을 수행하는 개별 중소기업의 수익성은 공동사업 미수행 중소기업 대비 평균 매출액이 115.1%, 평균 영업이익이 178.9% 높아 공동사업의 효과성은 증명됐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금조달을 회비로 충당하는 협동조합이 신규인력을 채용해 공동사업을 추진하기에는 여건과 상황이 녹록지 않다. 원활한 공동사업 운영을 위해 인적자원 확보가 필수적이나, 그동안 협동조합을 위한 인력 지원정책은 전무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지원사업이 최초 시행되면서 전문인력을 수혈받은 조합들은 당장 급한 불은 껐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이 사업을 통해 협동조합이 자생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지원사업 초기에 확실한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먼저, 인력 지원은 ‘언발에 오줌누기’ 식이 아닌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해야한다. 공동사업은 추진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평균 90개가 넘는 조합원사의 의견을 단기간에 하나로 모아 사업을 추진하기 어렵고, 조합원사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경우도 허다하기 때문이다. 현 사업은 공동사업 전문인력의 1~2년간 근속은 보장하지만 장기 근속을 보장할 수 없고, 단기성 성과는 공동사업의 연속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지자체 산하의 협동조합에 인력을 지원할 수 있도록 지자체도 지원 예산을 반영해야 한다. 지방조합은 수도권에 비해 인력난이 특히 심각하고 재정이 열악해 인건비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현재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와 100개 기초지자체가 중소기업협동조합 육성조례를 제정한데 반해, 협동조합에 인건비를 지원하고 있는 곳은 서울과 충청남도 두 곳에 불과하다. 타 지자체에서도 서울과 충남의 지원사업을 벤치마킹해 지자체 차원의 인건비 지원이 필요하다.

단체수의계약제도 폐지 이후 공동사업을 찾지 못해 지원사업에 목말라 있던 협동조합에게 이번 전문인력 지원사업은 사막에서 발견한 오아시스와 같다. 광업 전문 작업환경측정기관 신규 설립에 물꼬를 튼 대한광업협동조합, 문 닫을 위기였던 지역 공예전시장을 계속 운영할 수 있게 된 대경팔공공예사업협동조합은 지난해 전문인력을 지원받아 공동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대표 우수사례다.

이런 사례를 지속 배출해 협동조합이 중소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지역 활성화의 밑거름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가 인건비를 지원해 협동조합의 초기 성장을 돕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그리고 조합은 이를 적극 활용해 자체 공동사업을 발굴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우수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문인력 지원사업이 협동조합 인력난 해소와 공동사업 활성화의 신호탄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