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보다 미흡한 정부지원 개선에 주력

중소기업중앙회는 업종별 중소기업 단체를 회원으로 둔 중소기업계 최대의 경제단체다. 1000여개에 이르는 회원 단체의 대부분은 업종별 협동조합이지만 최근 들어 협회 등 중소기업 관련단체의 가입이 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우수한 중소기업 협업플랫폼으로서 협동조합과의 협업과 시너지 창출이 기대된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중기중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중소기업 관련단체의 주요사업과 현황, 성과 등을 소개한다.

한국농공단지연합회는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농공단지 지원법제 정비방안 정책토론회’ 를 개최했다. (왼쪽 앞줄 다섯번째부터) 한기흥 한국농공단지연합회 회장, 홍문표 국회의원.
한국농공단지연합회는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농공단지 지원법제 정비방안 정책토론회’ 를 개최했다. (왼쪽 앞줄 다섯번째부터) 한기흥 한국농공단지연합회 회장, 홍문표 국회의원.

한국농공단지연합회(회장 한기흥)는 전국 소재 농공단지의 구성과 운영, 활성화를 지원하며 농공단지 입주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역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공단지는 농어촌 지역의 소득을 높이기 위해 1980년대 초반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공업단지다. 농어촌 지역의 주민들이 자신이 살고 있는 농어촌 지역에서 취업할 수 있고, 지자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성된 산업단지다. 도시와 농어촌 간의 격차를 줄여 균형 있는 경제발전을 이루기 위해 시작됐다. 현재 농공단지는 전국에 걸쳐 480개가 조성돼 있다. 입주한 업체가 8288개, 종사인원은 15만5000여명에 이른다.

연합회는 농공단지 활성화를 위해 애쓰고 있다. ‘한국농공단지 도약의날’ 행사를 매년 개최해 전국 농공단지 기업인 간 만남과 교류, 농공단지 발전 유공자 포상, 비전 선포 등을 통해 농공단지의 홍보 및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국회 정책포럼 개최를 통해 농공단지 관련 정책과 전략을 공론화하고 실질적인 지원책인 ‘농공단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지역별 워크숍을 열어 농공단지 기업 간 협력 및 정보 교류, 기업 성공사례 공유 등을 통해 지역경쟁력 제고에 노력하고 있다.

40년 넘은 단지 탈바꿈 급물살

지방소멸 막을 핵심축 급부상

단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 추진

아울러 전국 480개 단지에 대한 전수 조사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와 애로사항을 취합해 농공단지의 역할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합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농공단지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서 멀어져 있는 상황이다. 국가 정책에 의해 조성된 산업단지라면 지원도 여타 산업단지와 동등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연합회에 따르면, 농공단지를 관할하고 지원하는 부처는 8개지만 어느 부처가 주도적으로 지원하고 있지 않다. 우선 산업단지를 총괄하는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의 농공단지에 대한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관련 부처들이 유기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최근 연합회는 농공단지의 역할 강화 및 조성 40년이 지나 노후화된 농공단지의 새로운 전환을 추진하기 위해 관련부처들에 대해 여러 가지 정책과제들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 산업부 관련 사항으로 도로, 주차공간, 울타리 등 농공단지 기반시설에 대한 환경개선과 업종제한, 건폐율, 용적율 등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중소벤처기업부 사항으로는 농공단지 애로센터 운영을 건의하고 있다.

또한 인력난 해소를 위해서는 귀촌인력을 활용한 농공단지 인력 지원과 외국인력의 의무 근무기간 설정, 취업이민 등 과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병역특례 관련 농공단지에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도 병무청과 논의하고 있다.

연합회는 농공단지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책 파트너인 정부가 농공단지 활성화를 위한 계획 수립, 지원 및 특별법 제정에 나서야 하며 지자체는 농공단지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갖고 담당자 전문화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주문한다.

앞으로 연합회는 농공단지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농공단지 생산제품의 판매 플랫폼도 구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