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5년말 기준 중소기업협동조합 수는 총 940개,  조합원 기업수는 7만2119개인 것으로 파악됐다.

중소기업청은 지난 16일 ‘제1차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중소기업협동조합의 현황을 분석했다.
중기청은 총 940개 조합의 조직화율은 2.0% 수준으로 중소기업의 R&D, 수출, 마케팅 등 공동사업 수행 기반이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협동조합 수는 1965년 단체수의계약제도 도입 등 정부 지원정책으로 성장세를 유지하다가, 2007년 이 제도가 폐지된 이후 정체기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 도입 및 복수조합 허용 이후, 신규 설립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중기청은 덧붙였다.

조합 형태별로 살펴보면 지난해말 현재 전국조합은 222개, 지방조합은 339개, 사업조합은 355개였으며 협동조합연합회는 24개였다.
조합수 기준으로는 사업조합이 355개로 가장 많고, 조합원수 기준으로는 지방조합(3만2336개), 전국조합(2만1394개) 순이었다.

조합별 가입기업은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고 특히 사업조합은 공동사업 확대 등으로 인해 조합가입 증가율이 8%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조합수 기준으로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52.2%(491개), 26.4%(248개)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한편 2015년말 기준 중소기업협동조합 조직화율은 2.0% 수준으로 단체수의계약제도 폐지 이후, 중소기업들의 조합참여 필요성이 반감되며 하방경직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중기청은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조직화율은 광업 16.6%, 제조업 8.5%, 도·소매업 2.8%, 서비스업 및 기타는 0.5% 순으로, 도소매 및 서비스업이 낮은 수준이었다.

조합의 수입은 공동사업 등 사업수입이 82.5%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회원수입 9.0%, 사업외수입 8.5% 순이었다.
사업수입 비중은 2012년 77.6%에서 2014년 82.5%로 증가했으나 회원수입 비중은 12.6%에서 9.0%로 줄었다.

특히 규모별 조합원 기업수가 100개 이상인 조합의 최근 3년 평균수입 증가율은 72.0%로, 소규모의 조합에 비해 수입이 증가 추세에 있었다.

협동조합의 평균 자산은 18억4100만원, 자본 8억3100만원, 부채는 10억1100만원이며, 조합유형별 자산규모는 비슷한 양상이었다. 재무안정성 지표인 부채비율은 121.7%, 자기자본비율 45.1%, 유동비율 161.2%로 재무구조가 비교적 안정적 상태였으나 사업조합의 부채비율이 196.1%로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보여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중기청은 분석했다.

조합의 평균 직원수는 3.7명으로 상근이사를 제외한 상근직원이 재직하고 있는 조합은 86.6%였다. 또 이사장 및 상근이사 결원률이 각각 12.3%, 55.0%에 이르고 있었다.

한편 협동조합 조합원인 중소기업이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매출성장률, 고용증가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조합원사의 매출성장률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연도별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작아 보다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2007~2013년까지 조합원사의 고용증가율은 1.5∼5.6%로 사실상 고용증가가 없는 일반기업에 비해 높은 상태를 유지했다.
중기청은 조합원들은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공동사업 발굴·추진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단체수의계약제도 폐지 이후 대표적 공동사업이 부재하고 평균 직원수가 3.7명에 불과한 상태에서 중소기업의 수출 및 R&D를 위한 지원에 나서기 힘든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공동사업 부진 → 수익저조 등 자금부족 → 조합운영부실 → 조합원 참여 부족 → 사업 부진의 악순환 반복되고 있다는 것.

또 중소기업협동조합은 신용사업을 병행하고 있는 유사조합에 비해 출자금, 잉여금 등 자본규모가 매우 취약하고 그동안 협동조합 육성 정책도 조합의 중소기업 지원역량 강화보다 과세특례, 공공조달시장 진출 등 부분적·단편적 지원 위주였다고 중기청은 지적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