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운영인력도 10만명 육성…전용펀드 조성·대기업 참여 적극 유도

▲ 지난 13일 창원 경남도청에서 열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대회’에서 열린 각계 이행방안 토론회에서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이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13일 발표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에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구축 목표를 지난 3월 제시한 2만개에서 이번에 3만개로 올려잡았다.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제조 과정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돼 자동제어가 가능한 생산 시스템이다. 생산성은 높이고 불량률은 낮추면서 실시간 개별 수요자 맞춤형 생산을 하는데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진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후 각 기업의 생산성은 30% 올랐고 불량률과 원가는 각각 43.5%, 15.9% 떨어졌다. 그리고 평균 2.2명을 추가로 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그동안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다소 소홀했는데 이제 대대적으로 정부 명운을 걸고 사업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근로시간 단축을 시행 중인 기업과 ‘뿌리 산업’ 등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생산성 향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전략 업종부터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산업은행 1조원, 기업은행과 중소기업진흥공단 5000억원 등 모두 2조원을 스마트공장 설비 투자자금으로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구축·공급기업을 위해 3000억원의 전용 펀드도 만들기로 했다.
지역주도형 지원 모델을 신설해 지방자치단체 참여도 확대한다. 이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매칭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형태다.

대기업의 참여도 적극적으로 유도할 방침이다.
정부는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참여하는 대기업에 대해 ‘동반성장지수’ 평가 시 우대하는 등 인센티브를 늘리기로 했다.
또 대기업에서 퇴직한 스마트공장 기술 전문가 100명을 내년에 ‘스마트 마이스터’로 초빙해 중소기업에 파견할 계획이다. 이들은 중소기업에서 스마트공장 구축과 관련한 컨설팅을 하고, 기술지원·사후관리·노하우 등을 전수하게 된다.

스마트공장을 공급하는 기업도 육성에 나선다. 내년에 제조 데이터의 수집·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센터와 플랫폼을 구축하고, 중기부 연구개발(R&D) 예산 1조1000억원의 20%를 공급기업에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쇼룸도 만들기로 했다.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운영인력 5만명을 양성하겠다는 기존 목표도 10만명으로 높였다.
아울러 ‘공장 혁신’을 통해 산업재해 감소와 근로시간 단축, 유연근무제 확산 등 ‘일터 혁신’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또 산업단지를 스마트 제조혁신의 거점으로 육성, 데이터를 연결·공유해 신산업을 창출하는 등 ‘스마트 산단’ 프로젝트도 추진하기로 했다.
스마트 산단 성공 모델을 조기 창출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스마트 산단 기획단’을 구성하고, 2022년까지 10개 스마트 산단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우선 2019년에는 국가산업단지 2곳을 선도 산단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스마트 산단에는 산단 내 공장 간, 산·학·연 간 데이터·자원을 연결·공유·활용할 수 있는 산단형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또 데이터를 활용해 예지정비 등 공정혁신(수요기업), 수요맞춤 제품 개발(공급기업), 유휴자원 공유 플랫폼 구축(산단)에 나선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