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보고서, 국제분업에서 자국내 분업체계로 전환 가속 전망
美·中 탈동조화 심화, 초미세공정 설계·제조기반 선점 경쟁 치열

미국 등 주요국이 자국 반도체 공급망의 안정성과 공급망 교란으로부터의 회복력을 중시하는 반도체 산업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공정별·지역별로 분업화된 기존 반도체 공급망이 구조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지난 1일 발표한 주요국의 반도체 산업정책과 공급망 변화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글로벌 반도체 산업 공급망이 국제 분업체계에서 자국내 분업체계로의 전환 ·중 디커플링(탈동조화) 심화 초미세 공정 경쟁 격화 등의 변화를 보일 것이라 전망했다.

보고서는 반도체 공급망은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지역 간 전문화·분업화가 이루어졌지만 최근 코로나19 및 자연재해로 공급망의 병목지점(choke point)에 문제가 생겼을 때 공급망 전체 기능이 정지되는 등의 교란이 발생했다면서 각국은 변화된 대내외적 환경 속에서 효율성에 따른 국제 분업체계 보다는 자국 반도체 산업 보호와 위기로부터의 회복력에 초점을 둔 산업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6월 미국 백악관은 반도체 등 4대 품목의 공급망 점검 보고서를 발표하고 미국 내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우선순위로 삼았으며, 미 의회 역시 52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제조 인센티브 법안(CHIPS for America Act)을 추진 중이다.

중국 또한 반도체 국산화를 최우선 목표로 내걸며 대규모 국가 펀드 지원을 통한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 밖에 유럽연합(EU), 대만, 일본 등도 자국 반도체 산업 진흥 정책을 다방면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 반도체 산업의 디커플링 확대도 핵심 변화로 꼽힌다.

보고서는 최근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와 이에 대한 중국의 맞대응을 두고 ·중의 기술을 활용하거나 소재·장비를 공급하는 제3국의 기업들에게도 영향을 끼쳐 세계 반도체 공급망을 양분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예상하며 다양한 첨단 산업에 활용가능하며 부가가치가 높은 초미세공정 반도체 설계·제조 기반을 선점하기 위한 국가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규섭 무역협회 연구원은 주요국은 반도체를 단순한 상품이 아닌 핵심 안보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수차례 위기를 극복하고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앞으로의 반도체 전쟁에서도 경쟁 우위를 지키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전체 파운드리 시장 매출의 97를 차지하는 상위 10대 기업의 올해 2분기 매출은 직전 분기보다 6.2증가한 244700만 달러(282511억원)으로 예측한 가운데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1위 대만 TSMC(54.5%→52.9) 2위 삼성전자(17.4%17.3%) 3위 대만 UMC(7.1%→7.2) 4위 미국 글로벌파운드리스(5.5%→6.1), 5위 중국 SMIC(4.7%→5.3)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