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맞춤형 정책방향 제시

“지역별로 산업구조, 인구구조 등 특성이 달라 지역마다 고용상황에 차이가 있으며, 인력부족의 원인, 구인난 업종 등이 상이합니다. 지역 노동시장을 가장 잘 아는 자치단체와 함께 지역 맞춤형 빈일자리 대책을 추진하고 6대 국정목표 중 하나인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달성하는 데 기여하겠습니다.”

정부는 지난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했다. 빈일자리는 현재 비어있거나 1개월 안에 새로 채용될 수 있는 일자리를 의미한다.

3월과 7월에 발표한 1·2차 ‘빈일자리 대책’이 인력난 호소가 큰 10개 업종(△조선업 △뿌리산업 △물류운송업 △보건복지업 △음식점업 △농업 △건설 △해운 △수산 △자원순환)을 선정해 업종별 맞춤형 지원방안을 마련했다면, 이번에 발표한 3차 대책은 지역별 빈일자리 여건과 지방자치단체별 수요를 고려한 ‘지역 맞춤형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방안들이 담겼다.

지난 ‘1·2차 빈일자리 대책’을 통해 빈일자리수가 22.1만개로 전년 동월대비 0.3만개 줄어들고 추세선 역시 8개월 연속 감소추세를 보이는 등 일부 성과가 있었다. 하지만 비수도권에서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일상회복과 경기회복으로 급증한 인력수요 대비 공급이 지연되는 일시적인 요인과 산업구조변화, 지방거점도시 쇠락으로 인한 인구유출 등 구조적 요인이 맞물려 빈일자리와 구인난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지역별 상이한 산업구조와 인구구조 등을 반영한 지역 맞춤형 빈일자리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고용노동부는 지역별 주요 빈일자리 업종의 인력난 원인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마련한 대응방안들을 관계부처들이 집중지원 하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